반응형 묵시적갱신6 임차권등기 임차인 대항력 물권화 의미 임대차 묵시의 갱신 계약갱신요구 Ⅰ. 임차권의 대항력 1. 의의 임차권은 채권이므로 원칙상 임대인에 대해서는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고 임차 목적물 양수인에게는 대항할 수 없으나 임차인이 대항력을 취득하면 양수인에게도 대항할 수 있다 2. 인정범위 (1) 부동산임차권의 등기 등기된 임대차는 제3자에 대하여도 효력이 생긴다 (2) 건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한 토지 임차권 지상 건물에 대하여 등기를 하면 토지임대차에도 대항력이 생긴다 (3) 주택임대차 보호법상 주택임대차 주택임대차는 건물에 등기되지 않은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다음 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4) 상가건물 임대차 보호법상 대항력의 취득 건물의 인도와 사업자등록을 신청한 그다음 날부터 대항력이 생긴다 3. 대항력의 의미 (1) 서설 .. 단어풀이 2023. 5. 11. 임대차계약 묵시적 갱신 임차인 해지 요건 효력 Ⅰ. 의의 일정한 요건 하에 임대차의 존속기간이 자동으로 갱신되는 것으로서 법정 갱신이라고 한다 Ⅱ. 규범의 성격 판례는 묵시의 갱신에 관한 규정을 편면적 강행규정이라고 본다 Ⅲ. 요건 1. 임대차 기간이 만료하였을 것 2. 임차인이 임차물의 사용 수익을 계속할 것 3. 임대인이 상당한 기간 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 Ⅳ. 효력 1. 새로운 임대차의 체결 간주 전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의 임대차가 다시 체결된 것으로 간주한다 2. 존속기간 묵시의 갱신이 되면 존속기간은 약정이 없는 것으로 본다 3. 담보권의 소멸 여부 묵시의 갱신이 있는 경우에도 당사자가 제공한 담보는 소멸하지 않지만 제삼자가 제공한 담보는 전임대차의 기간 만료로 소멸한다 4. 주택 상가건물 임대차의 경우 주택이나 상가건물 임대차의 경우.. 논술약식 2023. 5. 8. 전세 월세 임대차 묵시적갱신 이란 계약해지 통지 3개월 후 효력발생 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차 만료기간 끝나기 전에 계약조건을 변경하든 기존의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합의 갱신을 할 수 있는데 임대인이 임대차 끝나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갱신거절 통지를 하지 않을 때 그 기간이 끝나면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보는데 이걸 묵시적 갱신이라 합니다 전포스팅 묵시적 갱신이 무엇인지 기본적 내용 포스팅했고 이번에 두 번째로 법 개정이 되면서 바뀐 부분 체크해 볼게요 보통 일반적으로 전세 계약은 2년에 한 번씩 하는데요 2년 계약 후 만료된 뒤에는 계약을 연장하거나 혹은 다른 곳으로 이사 가는 게 일반적인 흐름인데요 근데 임차인이 계약기간이 만료되었는데 집주인도 아무 말 안 하고 임차인도 아무런 통보를 하지 않았다면 이걸 묵시적 갱신이라 하는데 자동.. 부동산내공쌓기 2023. 5. 3.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 중요도 따져보면 대항력 우선변제권 최우선변제권 묵시적갱신등은 잘챙겨봐야해요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 중요도 따져보면 대항력 우선변제권 최우선변제권 묵시적갱신등은 잘 챙겨봐야해요 #대항력 #우선변제권 #최우선변제권 #묵시적갱신 #묵시적경신 #주택임대차보호법 부동산내공쌓기 2018. 12. 20. 임대차보호법 묵시적 갱신 소개 임대차보호법 묵시적 갱신 소개 #임대차보호법 #묵시적갱신 부동산내공쌓기 2018. 4. 5. 묵시적갱신 의미와효력 묵시적갱신 의미와효력 부동산내공쌓기 2018. 3. 20. 이전 1 다음 반응형